공산성(사적 제 12호)은 백제시대의 대표적인 성곽으로 웅진백제(475~538)를 지킨 왕성으로 금강이 흐르는 해발 110m 능선과 계곡을 따라 흙으로 쌓은 포곡형(包谷形)산성이다.

원래 흙으로 쌓은 것을 임진왜란 직후에 돌로 다시 고쳐 쌓은 것으로 진남루(鎭南樓), 공북루(拱北樓)등의 남문, 북문은 남아 있지만 동문과 서문은 터만 남았다.


백제 당시에는 웅진성(熊津城)이라고 불렀으나 고려시대 이후에는 공산성이라고 불렸으며, 조선 인조 이후에는 쌍수산성(雙樹山城)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산성을 쌓은 연대는 문주왕 이후 성왕 이전까지 수도 웅진(熊津)을 수비하기 위하여 여러 성을 쌓았던 동성왕 때로 짐작되고 있다. 하지만 웅진 천도 이전에 이미 성책(城柵) 시설이 있었다는 견해도 제기되어 있다.(출처:공주공산성 - Daum 백과)

어제는 지리한 장마를 예고하 듯 한 줄기 시원한 소나기가 내렸고, 아침까지 찌푸린 날씨가 계속 되었는데 구름 한점없는 청명한 시간이다. 따가운 햇살을 피해 고목나무가 만들어 주는 시원한 그늘로 공산성을 시작해 본다.

공산의 산세를 그대로 살려 성벽을 쌓아 전체적으로 들쭉날쭉한 외형이 특징이다. 가장 유명한 건축물인 서쪽 문 금서루 말고도 성 곳곳에 크고 작은 정자들이 남아 있다.

고려 8대 임금 현종이 공주를 거쳐간 인연으로 공주 절도사 김은부의 세 딸을 왕비로 맞이 하여 공주는 현종 임금과 특별한 인연이 있었던 곳이라 안내하고 있다.

총 연장 2,660m의 고대 성곽으로 해발 110m의 능선에 위치한다. 475년 백제가 고구려에게 한성이 함락되고 난 후 급하게 도읍지로 삼았던 곳이기 때문에 산세가 험하다.(출처 : 공산성 - 나무위키 )

장마로 인한 우려와는 달리 맑은하늘 덕분에 공주 시가지가 한눈에 들어온다.

영은사는 공주 공산성 내 금강을 접하고 있는 북쪽 끝의 계곡에 있다. 공주 공산성에 자리 잡은 영은사에서는 공주시의 전경은 물론 금강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원통전 앞에 영은사 관일루가 배치되어 있다.

공산성의 얼음창고(조선시대 석빙고) 한겨울 맑은 금강물이 꽁꽁 얼면 그것을 깨어서 왕겨에 사서 석빙고에 저장해 두었다가 오늘처럼 더운 날씨에 꺼내 썼다고 한다.

백제시대에는 웅진성, 고려시대 공주산성, 고려시대 이후 공산성, 인조가 이괄의 난(1624)을 피해 산성에 머문 이후 쌍수산성으로도 불렀다. 조선 선조·인조 때 지금과 같은 석성(石城)으로 개축하였고, 이후 지속적으로 사용된 공산성에서 시대별 역사를 살펴 볼 수 있다.

백제인들이 산위에 왕궁을 지은 이유는 무엇일까? 성벽은 밖에서 오르지 못하게 쌓고(치성雉城), 남북에 두 개의 문루와 적에게 보이지 않는 출입문(암문暗門)을 만들었다. 공산성 옆의 공주 옥녀봉성(충청남도 기념물 제 99호)은 흙으로 쌓은 성(퇴뫼식)으로 공산성의 보조왕성의 역할을 하였다.(출처: 공산성 > 공주10경 > 공주 관광명소 > 공주 문화관광 (gongju.go.kr))

오늘도 좋은 사람들과 함께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 "공산성"을 둘러 보고 인근에 위치한 "새이학가든"에서 공주국밥에 곡차를 나누며 건강과 행복을 심어 준 하루였다.
'어디를갈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트남 냐짱(나트랑), 달랏의 주요관광지 (0) | 2022.11.29 |
---|---|
천북 굴길따라 길따라 길 (0) | 2022.07.16 |
유구색동수국정원(공주시) (0) | 2022.06.24 |
서해의명산 백화산에 오르다 (0) | 2022.06.22 |
물향기수목원(경기 오산) (0) | 2022.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