뜸북 뜸북 뜸북새 논에서 울고
뻐꾹 뻐꾹 뻐꾹새 숲에서 울 때
우리오빠 말 타고 서울 가시며
비단구두 사가지고 오신다더니
기럭 기럭 기러기 북에서 오고
귀뚤 귀뚤 귀뚜라미 슬피 울건만
서울 가신 오빠는 소식도 없고
나뭇잎만 우수수 떨어집니다

이 시를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요?
거의 국민가요 수준에 이른
이 시를 노래한 가수만 해도 여럿입니다.

그러나 이 시가
12살 소녀에 의해 씌어졌다는
사실을 알고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은 듯합니다.

최순애(1914~1998),
1925년 11월, 12살의 소녀 최순애는
 으로 당시 방정환선생이 내던 잡지[어린이]
의 동시란에 입선자가 됩니다.

그 다음 해 4월, 14세 소년
이원수(1911~1981) 역시 으로 이 코너의 주인공이 됩니다.

시를 보고 크게 감동을 받은
열두살의 소녀 최순애가
이원수에게 편지를 띄우기 시작하여
마산 소년 이원수와 수원 소녀 최순애는 펜팔친구가 됐고,
서로 얼굴도 모르면서 결혼약속까지 했답니다.

펜팔한지 7년 후 수원역에서
만나기로 하였는데,
약속한 날에 이원수 선생님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당시 이원수는 독서회를 통해 불온한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일경에 구속되어
1년간 감옥에 있었던 것입니다.

최순애의 집에서는 이런 예비 사위가 못마땅해 다른 혼처를 알아보고 권해 보았건만,
최순애는 완강히 거부하다 1년 후에 이원수가 풀려나고
최순애의 집으로 달려오면서...
1936년6월에 결혼식을 치르고
슬하에 3남 3녀를 두면서 행복하게 잘 살았답니다.
요즘 세대에는 믿기지 않을 순애보입니다.
과 의 만남이라고 할까요.

+ Recent posts